320x100
|
목차
써모랩 바람 샤인 Baram Shine 쿨러 Review - 외형편
써모랩 바람 샤인 Baram Shine 쿨러 Review - 성능비교편
BARAM Shine ↔ 10X Extreme ↔ Ultra120eX
왼쪽에 첫번째 부터 Zalman 10X Queit , Zalman 10X Extreme , Thermolab Baram Shine , Thermalright Ultra120eX 입니다.
10X queit 는 이번에는 테스트에서는 제외했습니다. 사진에는 나오지 않지만 정품쿨러도 테스트항목에 넣었습니다.
왼쪽에 첫번째 부터 Zalman 10X Extreme , Thermolab Baram Shine , Thermalright Ultra120eX 입니다.
10X Extreme 는 팬이 기본으로 장착 되어 있습니다. 저속에서도 풍량이 꾀 좋은것으로 알려진 팬이 달려있습니다. 써모랩과 써멀라이트사의 CPU 쿨러는 기본적으로는 팬이 없는상태로 나옵니다. 하지만 사용자가 120mm 의 쿨러를 임의로 고를 수 있는 장점도 제공합니다. 써모랩은 특히 제조단가를 낮추는 노력으로 가격도 좀 더 낮게 제공합니다. 하지만 아래 테스트에서 성능 비교를 하겠지만 더 높은 가격의 쿨러보다 절대 밀리지 않는 성능을 발휘합니다.
CPU 쿨러의 측면부분입니다. Zalman 사의 10X Extreme 는 히트싱크가 넓게 펴지는 반면 써모랩과 써멀라이트사의 히트파이프는 수직으로 올라가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Zalman 사의 제품은 히트싱크가 한쪽이 길면 반대쪽도 길어서 히트파이프의 길이가 서로 다른반면 써모랩과 써멀라이트사의 히트싱크는 한쪽이 길면 반대쪽은 짧게 하여 히트싱크와의 거리를 모두 동일하게 만들어 놓았습니다. 제생각에는 후자가 좀 더 이상적입니다.
히트파이프의 갯수는 써멀라이트사는 6개를 썻고 써모랩과 잘만사 제품은 5개를 채용했습니다. 베이스의 두깨는 써멀라이트사가 가장 두꺼우며 다음이 써모랩 다음이 잘만사 순입니다. 베이스는 열을 어느정도 가지고 있는 역할을 하기에 두깨도 사실은 중요한 요소입니다. 베이스는 모두 구리(Cu) 로 되어있습니다.
CPU 쿨러 성능 비교를 위한 셋팅
CPU 쿨러의 성능 비교를 위해서 셋팅을 했습니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 ZM-MFC3 의 온도센서와 RPM 측정기를 이용했습니다. 파워는 메인으로 쓰는 안텍 HE500 을 꺼내서 테스트를 했습니다.
테스트 재원
CPU : 펜티엄 D 805 (2.66Ghz)
RAM : ST 1GB X 2EA
MainBoard : Asus P5K SE
Graphic Card : HIS 1650 Pro
CPU Cooler : 정품쿨러 , Baram Shine , Zalman 10X Extreme, 써멀라이트 Ultra120eX 총 4종
전력측정 : Inspector II SE
RPM , 온도측정 : ZM-MFC3
RAM Cooler : Corsair DOMINATOR Cooler
과부하 테스트 프로그램 : S&B
OS : Windows7 Ultimate 32bit
CPU : 펜티엄 D 805 (2.66Ghz)
RAM : ST 1GB X 2EA
MainBoard : Asus P5K SE
Graphic Card : HIS 1650 Pro
CPU Cooler : 정품쿨러 , Baram Shine , Zalman 10X Extreme, 써멀라이트 Ultra120eX 총 4종
전력측정 : Inspector II SE
RPM , 온도측정 : ZM-MFC3
RAM Cooler : Corsair DOMINATOR Cooler
과부하 테스트 프로그램 : S&B
OS : Windows7 Ultimate 32bit
온도는 가능한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 박막센서를 CPU 히트프레스 바로 옆에 붙여서 장착을 했습니다.
Antec HE500 파워서플라이 를 달았습니다. 처음에는 오버클럭킹을 해보려고 했는데 이 CPU 가 오버클럭킹이 엄청 안되는군요. 전력, 메모리,메인보드 모든게 받쳐주는상태에서도 CPU 가 전혀 도움을 주지 않아서 오버를 하지 못하고 테스트를 했습니다. 다만 듀얼코어 D 초기형이기때문에 그냥 사용하여도 발열이 높네요. 덕분에 테스트에서 CPU 열이 높아야 테스트를 재대로 할 수 있었는데 그게 만족되었습니다. 온도는 ZM-MFC3 를 이용해서 측정했으며, 팬의 스펙에 따라서 성능차이가 나는걸 막기 위해서 팬은 가능한 1개만 사용했으며 (애너맥스 최고 2140RPM) 팬컨트롤러를 이용해서 정확히 같은 팬속도에서 측정을 하였습니다.
쿨러 성능 테스트 조건
과부하프로그램 : S&B
측정과제 : 팬작동 풀로드 1320 RPM , 팬작동 풀로드 2150 RPM , 쿨러미작동 풀로드 (3가지 측정)
CPU 과부하 프로그램은 정상적은 CPU 도 망가뜨릴정도라는 S&B 프로그램을 이용했습니다. 팬은 2가지 속도에서 (저소음,고소음) CPU 에 부하를 주어 테스트를 했으며, 마지막으로는 팬을 제거 후 테스트를 해서 S&B 에서 오류가 날때까지 또는 시스템이 다운될때까지 시간을 측정해보았습니다.
테스트 시 실내온도 : 28.2 - 30.8 도
정품쿨러는 다른쿨러와 비교급이 아니기에 일단 먼저 테스트해보고 기록 후 , 나머지 3개의 타워형 쿨러들은 모두 한꺼번에 온도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정품쿨러 성능 테스트 (4400 RPM + 부하테스트)
정품쿨러는 최대 RPM (4400 RPM) 으로 테스트를 했습니다. S&B 로 부하를 준상태에서 온도 측정을 했습니다.
S&B 로 테스트를 한 상황입니다. 10분간 테스트를 무사히 마쳤습니다.
반응형
'얼리어답터_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T OZ 데스크탑 위젯 알아보자 (9) | 2009.11.10 |
---|---|
써모랩 바람 샤인 Baram Shine 쿨러 Review - 외형편 (18) | 2009.11.10 |
XPEED100 블로거 체험단 - 내가 있는 곳에서 XPEED 안정적일까? (9) | 2009.11.03 |
OCZ, CORSAIR, ZALMAN 램쿨러 3종 비교 (10) | 2009.10.14 |
CORSAIR RamCooler Review (커세어램쿨러,OCZ램쿨러 비교) (12) | 2009.10.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