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
AX850 파워서플라이 입니다. 케이블은 모두 분리 및 장착이 가능해서 (주커넥터 조차도 분리가 됨) 원하는 케이블만 꽂을 수 있습니다. 필요한 선만 꽂을 수 있으니 사실 선정리조차 필요가 없죠. 케이블도 리폼이 필요없는 타입으로 되어있고 선정리가 편해 공기 유동도 좋습니다.
박스에 있는 노이즈 그래표 입니다. 효율은 모든 구간에서 80%를 넘으며 (86%이상) 50%를 사용하는 구간에서 가장 효율이 높습니다. 높은 전력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적당한 파워서플라이죠. 팬의 노이즈는 170W까지는 (파워서플라이 출력의 20%) 팬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그 이상 사용하면 팬이 동작하긴 하지만 10dB이하 즉 사람귀로는 느끼지 못하는 소음이 납니다. 사람 귀에 느껴지는 소음이 나려면 그래프상으로는 680W 이상을 써야 하네요.
팬이 천천히 돌아가면 몇가지 이득되는 점이 있습니다. 파워서플라이 내부로 먼지가 적게 유입되어서 수명이 길어집니다. 청소도 자주 안해주더라도 괜찮죠. 그리고 케이스가 파워서플라이를 하단에 장착하는 형태라면 더 좋습니다. 팬은 아래쪽에서 위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해놓으면 위에서 내려앉는 먼지가 내부로 들어가지 않아서 더 좋지요.
제 시스템 입니다. 케이블의 단자가 역방향인것은 조금 아쉬운 부분이고 빅타워에서 쓰려니 케이블길이가 조금 짧은것도 분명 있긴 한데요. 대신 케이블이 리폼이 필요 없는 형태라서 괜찮네요. 일자로 붙어있는 형태이고 모두 검은색으로 되어 있어서 일체감도 좋습니다.
AX850의 팬이 돌아가는 시점을 찾아보기 위해서 찍어본 동영상 입니다. 팬이 얼마나 안돌아가는지 그리고 천천히 도는지 보시면 아실듯 합니다. 참고로 일반적인 파워서플라이는 무조건 팬이 돌아가야 합니다. 파워서플라이의 팬이 돌아가야하는데 안돌아가는경우는 팬의 수명이 다한 경우도 있으니 반드시 확인하세요. 파워서플라이의 과열은 화재로 이어질 수 있으니까요.
|
'하드웨어 > 컴퓨터 튜닝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CPU 전원관리 옵션 VT-D 활성시 대기전력 비교 (4) | 2012.04.16 |
---|---|
S-ATA 케이블 전송속도 하락 EMF 영향을 받을까? 실험기 (13) | 2012.03.06 |
커세어 AX850 극저소음 파워서플라이 실험 (6) | 2012.02.28 |
키보드 청소하는법 기계식 키보드 제닉스 TESORO M7 Gaming (9) | 2012.02.24 |
삼성 SSD 830 Series 256GB USB 3.0 성능 (11) | 2012.01.06 |
탁상시계 USB 5V 개조 하여 건전지 대체하기 (19) | 2012.01.04 |
괜찮은데요??ㅎㅎㅎ 예민한 사람에게 좋겠어요...ㅎㅎ
답글
좋은 글 잘 봤습니다.
답글
극저소음이라 정말 조용하겠군요
답글
풀모듈러에 팬이 스마트하게 돌아가고 효율도 좋고 역시 비싼게 좋은거군요ㅋㅋ
이제 씨디맨님 시스템은 익숙(?)하네요 ㅋㅋ 근데 사진은 동영상보다 오래된듯한느낌이ㅋㅋ 동영상에서는 CPU쿨러 팬이 바껴있네요 후면팬은 녹투아 제품이 맞죠? 명품이라 불리는ㅋ 언젠가 7000RPM짜리 팬 사용하시면 자세히 소개해주세요~
동영상 중간중간 쫄깃한 청축소리ㅋㅋㅋ 정말 감사합니다(__)
답글
역시 파워만큼은 커세어!! ㅎㅎ
답글
음악 감상을 하면서 글을 쓰는 집사람에게는 쓸데없는 주변 소음이 일에 방해가 되곤 합니다.
일의 특성상 자주 까칠해 지기 마련인데, 날씨가 더워지면서 컴 내부 발열이 심해지면 팬 소음이 커지게 되고, 안그래도 까칠해진 신경을 자극하게 되어 일에 더 안좋은 영향을 끼치더군요..
무소음 PC 를 한대 마련해 주어야 겠다고 생각하여 알아 보고 있었는데, 가격이 조금 하지만, 튼튼하고 완벽하게 무소음인 파워써플라이를 소개해 주셨군요.. ^^
항상 좋은 것들을 알차게 소개해 주셔서 여러가지로 고맙습니다.
씨디맨 님은 제게있어서 "생활의 달인 !!" 같은 존재 십니다. ㅋㅋㅋ
앞으로도 저 같은 사람들이 많은 도움 받기를 바라며, 응원해 드립니다. !!!
화이팅 !!!
답글